- 저신장증 치료 추적 관찰, 경과 따라 또래 표준 신장에 근접 경향성 확인
- 2035년까지 누적 1만명 관찰, 한국인 특화 저신장증 연구 활성화 주도할 것

[더바이오 강인효 기자] LG화학이 저신장증 성장호르몬 장기 치료에 대한 확고한 신뢰 확보에 나선다. LG화학은 소아내분비 전문의를 대상으로 ‘제20회 LG Growth Study(LGS) 심포지엄’을 개최했다고 10일 밝혔다. 회사는 해당 행사를 통해 국내 저신장증 환아를 대상으로 한 ‘유트로핀 제품군(이하 유트로핀)’ 치료의 장기간 관찰 연구를 중간 분석하며 12년차 안전성 및 4년차 유효성 결과를 발표했다.
LG화학은 국내 최초로 한국 소아 대상의 성장호르몬 장기 투약 데이터 확보를 위해 지난 2012년부터 ‘LGS’를 진행해오고 있다. 이 연구는 2027년까지 저신장증 환아 1만명을 모집해 유트로핀의 안전성 및 유효성을 2035년까지 추적 관찰하는 장기 프로젝트다. 연구 12년째인 지난해 말 기준 등록자 수는 7000여명을 기록했다.
홍용희 순천향대 부천병원 교수는 ‘유트로핀 12년차 안전성과 4년차 유효성 결과’를 발표하며, 유트로핀이 저신장 환아의 키 성장을 효과적으로 개선시켰다고 말했다. 치료 경과에 따라 또래 표준 신장에 근접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성장호르몬 결핍증, 부당경량아 환아의 경우 치료 시작 전 표준편차가 -2.5에서 치료 48개월 뒤 -0.9로 또래 표준에 점차 가까워졌다. 특발성 저신장증에서는 -2.5에서 -1.1로 치료 효과가 나타났다. 표준편차는 0에 근접할수록 평균에 가까워졌다고 분석할 수 있다.
부당경량아는 출생체중이 3백분위수(3/100) 미만인 저체중 신생아를 말하며, 특발성 저신장증은 전신적, 내분비적 이상은 없으나, 키가 해당 연령 집단에서 3 백분위수(3/100) 미만인 상태를 의미한다.
이어 이해상 아주대병원 교수가 LGS 내 부당경량아 등록 환아들만을 상세 분석, 장기적 치료 방안으로 유트로핀의 효과 및 안전성을 발표했다. 손지웅 LG화학 생명과학사업본부장은 “LGS는 우리나라 저신장증 아이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국내 최초, 국내 최대 규모의 성장호르몬 치료 데이터베이스(DB)가 될 것”이라며 “저신장증 연구를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최적의 치료 솔루션을 제시해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바카라 에볼루션화학은 1993년 수입제품 대체를 위해 국내 최초의 저신장증 치료제인 유트로핀을 출시했다. 이후 액상과 펜 방식 등으로 제품의 제형을 다각화해왔으며, 특히 ‘유트로핀에스펜’의 제형 개발과 생산 투자를 통해 공급 안정성을 한층 높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