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전도 데이터로 콩팥 기능 보는 국내외 최초의 솔루션

DeepECG Kidney 운영화면 예시 (출처 : 바카라 토토 사이트)
DeepECG Kidney 운영화면 예시 (출처 : 뷰노)

[더바이오 유수인 기자] 의료 인공지능(AI) 개발기업인 뷰노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AI 기반의 콩팥 기능 저하 선별 심전도 분석 소프트웨어인 ‘뷰노메드 딥이씨지 키드니(VUNO Med-DeepECGKidney, 이하DeepECG Kidney)’의 의료기기 허가를 획득했다고 9일 밝혔다. 심전도 데이터로 콩팥 기능을 보는 국내외 최초의 솔루션이라는 게 회사의 설명이다.

DeepECG Kidney는 딥러닝 알고리즘을 기반으로12채널 유도 심전도 데이터를 분석해 비침습적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콩팥 기능의 저하를 선별한다. 이 기기는 임상에서 ‘만성 콩팥병(Chronic Kidney Disease, CKD)’ 진단에 활용되는 추정사구체여과율(eGFR)을 기준으로 중등도 이상 콩팥 기능이 저하된 환자군을 선별하도록 학습됐다.

만성 콩팥병은3개월 이상 콩팥 기능이 지속적으로 저하되는 상태를 의미하며, 세계적으로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는 주요 만성질환 중 하나다. 초기에는 증상이 거의 없어 진단 시기가 늦어지는 경우가 많아 적절한 치료 시기를 놓칠 수 있다. 특히 만성 콩팥병 환자는 심혈관질환과 뇌졸중, 사망 위험이 높아 이를 조기에 식별하고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기존의 혈액 검사를 통한 eGFR 측정과 달리 DeepECG Kidney는 비침습적으로 콩팥 기능 저하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로써 콩팥 기능이 저하된 만성 콩팥병 환자에게 필요한 검사나 치료를 결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뷰노는 향후 휴대용 심전도 측정 의료기기인 ‘하티브(HATIV) P30’에 DeepECG Kidney를 비롯한 DeepECG모델을 연동할 계획이다.

DeepECG Kidney는 임상시험에서도 의료기기로서 우수한 성능을 입증했다고 회사는 강조했다. 선별 정확도를 나타내는 성능 지표인 ‘AUROC(Area under receiver operating curve)’를 기준으로 병원에서 측정하는 표준12유도 심전도에서0.8538을 기록했다.

이예하 뷰노 대표는 “이번에 허가받은 DeepECG Kidney 제품은 심전도로 콩팥 기능 저하를 조기에 발견함으로써 만성 콩팥병의 진단 사각지대를 해소하는데 큰 역할을 할 것”이라며 “앞으로도바카라 토토 사이트 기술을 활용해 의료 현장에서 실질적인 가치를 제공하고, 개인이 일상에서도 만성질환을 쉽게 모니터링해 조기에 치료받을 수 있는 헬스케어 환경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DeepECG Kidney는 바카라 토토 사이트 기반 심전도 분석 소프트웨어인 DeepECG의 질환별 세부 모델 중 하나다. 지난해5월과8월, 10월에 각각DeepECGAMI(바카라 토토 사이트 기반 급성 심근경색 선별 소프트웨어) 모델과DeepECG LVSD(바카라 토토 사이트 기반 좌심실 수축 기능부전 선별 소프트웨어) 모델, DeepECGHyperkalemia(바카라 토토 사이트 기반 고칼륨혈증 선별 소프트웨어) 모델이 식약처 허가를 획득했다.

저작권자 © 더바이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