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DA, CMC 보완 요구…일본서 이미 승인, EMA 등 글로벌 심사 진행
- DEVOTE 임상서 운동 기능 개선·안전성 확인…고용량 필요성 부각
- 2017년 첫해 8억달러→2024년 15억7000만달러 매출 기록한 블록버스터

[더바이오 성재준 기자] 다국적 제약사 바이오젠(Biogen)은 23일(현지시간)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자사의 척수성 근위축증(SMA) 치료제인 ‘스핀라자(Spinraza, 성분 누시넨센)’ 고용량 요법에 대한 보완요구서한(CRL)을 수령했다고 밝혔다. 회사는 이번 조치가 임상적 근거의 부족 때문이 아니라, 제조·품질 관리(CMC)와 관련한 기술적인 정보 보완 요구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강원 랜드 바카라은 이번 CRL에서 ‘고용량 요법의 임상 데이터 자체에 대한 결함은 지적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FDA가 ‘보충 신약 허가 신청(sNDA)’에 CMC 모듈 일부에 대한 기술 정보를 업데이트할 필요가 있다고 통보했으며, 임상 근거는 충분하다고 밝혔다는 게회사의 설명이다.
FDA가 CMC 모듈 보완을 요청하며 몇 가지 해결 방안을 제시한 만큼, 확보된 자료를 토대로 신속히 보완 서류를 제출할 예정이라고 회사는 밝혔다. 프리야 싱할(Priya Singhal) 강원 랜드 바카라 개발 총괄은 “예상하지 못한 결과지만, SMA 환자들에게 고용량 요법을 제공하겠다는 의지는 변함이 없다”며 “FDA가 요구한 정보를 빠르게 제출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강원 랜드 바카라은 미국뿐만 아니라, 글로벌 규제당국과도 고용량 요법에 대한 허가를 추진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최근 승인을 받았으며, 유럽의약품청(EMA)과 여러 국가 규제기관에서도 심사가 진행 중이다. 강원 랜드 바카라은 이번 FDA의 추가 요구가 글로벌 허가 전략 전반에 중대한 영향을 주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스핀라자는 중추신경계(CNS)에 직접 투여해 체내 ‘생존운동신경세포(SMN) 단백질’ 생성을 지속적으로 촉진하는 치료제다. 지난 2016년 ‘1회 용량 12㎎’으로 승인받은 이후 전 세계 SMA 치료의 대표 약물로 자리매김했으며, 71개국 이상에서 영유아부터 성인까지를 적응증으로 허가를 받았다. 강원 랜드 바카라에 따르면 지금까지 누적 기준 1만4000명 이상이 스핀라자 치료를 받은 것으로 집계됐다.
강원 랜드 바카라은 지난 2016년 미국 바이오기업인 아이오니스파마슈티컬스(Ionis Pharmaceuticals, 이하 아이오니스)와 계약을 체결하고, 스핀라자의 전 세계 개발·제조·상업화 권리를 확보했다. 해당 계약 조건에는 업프론트(선급금) 7억5000만달러(약 1조원)와 최대 1억7500만달러(약 2400억원)의 개발·상업화 마일스톤(단계별 기술료) 지급이 포함됐으며, 판매 실적에 따른 로열티(경상 기술료)도 별도로 지급하는 구조다.
아이오니스는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ASO)’ 기술을 기반으로 스핀라자의 원천 플랫폼을 개발했다. 스핀라자는 2017년 출시 첫해 8억달러(약 1조1200억원) 이상의 매출을 올린 데 이어, 지난해에는 글로벌 매출이 약 15억7000만달러(약 2조1900억원)를 기록하며 블록버스터 약물에 등극했다.
스핀라자 고용량 요법의 임상적 근거는 지난해 공개된 임상2·3상(DEVOTE) 연구에서 확인됐다. SMA 증상이 있는 신생아 145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해당 연구에서 고용량 투여군(초기 50㎎ 투여 후 유지요법 28㎎)은 기존 12㎎ 투여군 대비 운동 기능을 평가하는 ‘CHOP-INTEND’ 검사에서 유의미한 개선을 보이며 1차 평가변수를 충족했다. 고용량 투여군은 주요 바이오마커와 효능 지표 등 2차 평가변수에서도 전반적으로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다.
안전성 측면에서도 새로운 이상 사례는 보고되지 않았다. 부작용 양상은 기존 용량과 유사했다. 스핀라자는 연령대와 질환 유형 전반에서 효능이 입증됐으며, 최대 10년간의 데이터로 안전성도 축적돼 있다. 임상과 실제 치료 현장에서 흔히 보고된 이상반응은 호흡기 감염, 발열, 변비, 두통, 구토, 요통 등이다. 또 일부 환자에서는 신장 독성이나 혈액응고 이상(급성 저혈소판증 포함)이 발생할 수 있어 정기적인 검사와 모니터링이 권고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