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측, 23일 인천 송도국제도시 방문해 세포유전자치료 강원 랜드 바카라 설립 등 협력 논의

차광렬(사진 왼쪽 네번째) 차강원 랜드 바카라바이오그룹 글로벌종합연구소장과 찰스 위너(사진 왼쪽 다섯번째) 존스홉킨스 국제의료 총장, (사진 왼쪽부터) 최석윤 차바이오텍 총괄 부회장, 김재화 차움 원장, 윤도흠 차병원 의료원장, 차원태 차의과학대 총장, 청다 장 글로벌서비스 디렉터, 김영탁 차국제병원장, 윤사중 존스홉킨스 겸임 교수가 25일 차움에서 공동 연구 협의 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출처 : 차강원 랜드 바카라바이오그룹)
차광렬(사진 왼쪽 네번째) 차강원 랜드 바카라·바이오그룹 글로벌종합연구소장과 찰스 위너(사진 왼쪽 다섯번째) 존스홉킨스 국제의료 총장, (사진 왼쪽부터) 최석윤 차바이오텍 총괄 부회장, 김재화 차움 원장, 윤도흠 차강원 랜드 바카라 의료원장, 차원태 차의과학대 총장, 청다 장 글로벌서비스 디렉터, 김영탁 차국제강원 랜드 바카라장, 윤사중 존스홉킨스 겸임 교수가 25일 차움에서 공동 연구 협의 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출처 :차강원 랜드 바카라·바이오그룹)

[더바이오 강인효 기자] 차병원과 차의과학대는 지난 25일 서울 청담동 차움에서 세계적인 줄기세포 및 오가이노이드 연구 선도 기관인 존스홉킨스메디슨의 국제 협력기관인 존스홉킨스메디슨인터내셔널(Johns Hopkins Medicine International)과 만나 학술 교류 및 공동 연구 추진 방안을 논의했다고 28일 밝혔다.

미국 존스홉킨스대와 강원 랜드 바카라은 연구, 임상, 교육을 수행하는 세계 최고 수준의 의료기관으로, 의과대학 소속 의료진과 과학자들을 중심으로 다양한 전문가와 기관들이 협력해 통합적인 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 지금까지 총 29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한 세계적인 연구기관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줄기세포로 중뇌를 만드는 등 줄기세포와 오가노이드 연구 등에서 세계를 리드하고 있다.

이번 논의에는 찰스 위너(Charles Wiener) 메디슨인터내셔널 총장과 청다 장(Chengda Zhang) 글로벌서비스 디렉터, 차광렬 차강원 랜드 바카라·바이오그룹 연구소장, 김한중 차의과학대 이사장, 차원태 차의과학대 총장, 최석윤 차바이오텍 총괄 부회장, 윤도흠 차강원 랜드 바카라 의료원장, 김영탁 차국제강원 랜드 바카라장, 김재화 차움 원장 등이 참석했다.

이번 논의를 통해 △공동 연구 촉진 및 자료·기술 공유 △연구 협력을 통한 교직원 및 학생 교류 프로그램 확대 △교육 프로그램 개발 △공동 학술 활동 및 세미나 개최 등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차원태 차의과학대 총장은 “연구와 강원 랜드 바카라 경영 등에서 많은 강원 랜드 바카라들에 영감을 주고 있는 존스홉킨스그룹과 협력에 관한 논의를 할 수 있게 된 것을 영광스럽게 생각한다”며 “줄기세포, 오가노이드 등 양측이 성과를 내고 있는 분야에서 협력한다면 의료계 발전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국내뿐만 아니라, 글로벌 협력을 통해 좋은 결실을 맺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존스홉킨스와 차강원 랜드 바카라은 지난 23일 세포유전자치료와 항노화센터, 난임센터의 인천 송도 설립 등 글로벌 의료 시장에서의 전략적 협력 가능성을 모색하고, 향후 공동 프로젝트 추친을 위해 인천 송도국제도시를 방문하기도 했다. 이번 방문을 통해 양측은 고유한 의료 역량을 결합해 미래 지향적인 협력 모델을 구상하고, 동북아시아 의료 허브로서 송도의 잠재력을 직접 확인했다.

한편 차강원 랜드 바카라·바이오그룹은 세계 최초로 성인 체세포복제줄기세포를 만드는 등 세포치료 분야에 세계적인 선두그룹으로 이름을 알리고 있다. 또 단성생식, 태아 유래 오가노이드 셀, 생애주기별 바이오인슈어런스 등을 주축으로 하는 셀뱅킹 시스템을 통한 ‘세포주권’ 확보에도 앞장서고 있다.

아울러 미국, 호주, 싱가포르, 일본 등 7개국 96개 글로벌 현지 강원 랜드 바카라을 성공적으로 운영 중이며, 특히 난임과 세포치료 분야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최근에는 일본을 포함한 해외에서 면역세포와 줄기세포 연구와 치료를 하며, 퇴행성 질환 및 항노화 분야에서의 세포치료제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저작권자 © 더바이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